한복의 시대별 구분

한복은 고대시대 때부터 전해 내려오고 있는 한국의 전통의상이다. 
우리나라의 사상,관습, 행위, 형태,기술 등의 양식과 우리의 정신이 깃든 것으로 치마, 저고리,바지, 두루마기, 마고자 등이 있다.이와 같이 한복은 상의와 하의로 이루어진 형태이며 상의는 앞이 열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성의 치마는 둘러서 입는 복식인데 신분에 따라 시대에 따라 그 모양은 다르게 연출되었다.
현재 한복의 아름다움과 우아함은 신세대의 감각에 맞게 새로운 디자인으로 국내외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한복은 삼국시대  때부터 그 형태를 볼 수 있다. 저고리, 바지, 치마의 기본 구조는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지만, 길이나, 폭, 형태가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경되었다. 


고구려/백제/신라 시대


한복은 고구려 벽화에서 처음으로 알려져 기록되었다. 고대 우리 민족은 말을 타고 활을 쏘며 생활하고 삼국 및 가야의 의복은 서로 비슷했다. 
고구려의 의복을 설명하자면, 바지는 통이 넓었고, 저고리는 통이 좁았다. 그리고  그 위에는 기다란 포를 입는 형태를 갖고 있었다.
여자의 경우엔 치마를 더 입었고, 신분에 따라서 저고리에 문양을 달리 넣기도 하였고, 남자의 경우 신분에 따라서 바지의 종류가 달랐다.
저고리는 모두 엉덩이까지 내려왔었다. 또한 고구려는 비상사태에 대비해 항상 전투복 형태의 옷을 입고 다녔다는 기록이 있다.(김덕형,고구려는 한국사다) 또한 고구려 사람들은 옷의 활동성을 중요시 했기 때문에 전쟁에서도 활용가능했었다.
고구려는 기다란 저고리를 고정하기 위해 끈을 허리에 맸었다. 종류는 피혁대, 포백대, 과대 등이 이었다. 이 중 포백대는 흔히 볼 수 있는 대로서 귀족의 경우 폭이 넓었고, 서민은 폭이 좁은 띠를 두르고 있었다.

백제의 한복은 고구려와 흡사하였으나 화려하고 귀족만의 미적 감각이 발달하여 삼국 중에서 가장 여성스러운 특징이 있다.  머리에 장식을 하였고, 남자의 경우 신하의 직급에 따라 은제를 부착하도록 하였다. 또한 고구려와 비슷하게 넓은 포를 주로 입었다.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에 비해 늦은 속도로 발전한 만큼 두 나라와 당나라의 문물을 받아들여 복식에도 적용하였다. 삼국시대 중 가장 화려했고 금을 가공하는 기술이 뛰어났다. 많은 귀족들은 나라의 복식을 입었지만 백성들은 기존의 저고리바지, 저고리치마를 입었다. 

 

통일신라/고려시대 


삼국을 통일한 통일신라는 안정된 국가 상황과 친당 정책이 반영되어 화려함과 사치스러움이 특징이다. 42대 흥덕왕 시대에는 복식에 대한 사치가 날로 심각해 지자 진골부터 모든 계급의 남녀 복식재료에 제한을 두고 사치금지령을 내렸지만, 효과는 미미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때 당시의 복식은 친당정책으로 인해 당의 스타일이 도입되었지만, 일반 백성들은 무풍적인 복식생활을 이어갔다. 

고려시대에는 치마를 여러 번 휘감을수록 더욱 고상하게 여다. 이런 모습은 고려의 전기에서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일부는 통일신라시대의 잔존이다. 고려 후기에는 정치적으로 원나라의 간섭을 받게 되면서 한복에 시각적인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특히 몽골의 공주가 고려로 시집을 오게 되면서 몽골 의복이 고려 궁중 복식에 큰 변화를 야기 했다. 이때부터 옷고름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흰색 모시옷을 입었고 당시 조성된 불상 안에서 나온 직물을 보면 원나라에게서 우리의 것을 지키려고 노력했음을 엿 볼 수 있다. 
사실 불교를 국교로 삼았던 고려의 복식유물 자료는 그 양이 매우 적어 고증하기가 쉽지 않은 시대 중 하나이다.

 

조선시대/대한제국시대 


조선시대는  유교를 국교로 삼은 철저한 계급국가였다. 따라서 관복자체에 계급에 따른 복식을 부여하였다. 병자호란 이후부터 조금씩 저고리를 줄여서 입기 시작하였고, 품도 몸에 맞게 입었다. 또한 치마와 저고리 사이의 겨드랑이 밑을 가리기 위해 넒은 띠를 매었다.그때부터 노리개를 활용하여 장식하기 시작했다.   치마는 점점 더 길어지고 폭도 넓어지다가 18~19세기에는 종의 모양을 갖은 형상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러한 한복의 유행은 기녀들을 중심으로 한복 복식의 유행이 시작되었다. 

일제 강점기 이후에는 관복이 양복화가 되면서 점차 전통 복식도 간소화 되었다. 여자의 경우에는 일본 유학파나 신여성은 양장을 입고 서양식 짧으 치마와 허리까지 오는 긴 저고리를 입은 모습이 혼재했다. 그 외의 일반적으로는 서구식 치마의 영향을 받아 치마의 폭도 짧고 작은 형태로 흰저고리에 짧은 치마 형태를 갖고 있다. 지나치게 짧았던 저고리가 여성의 사회활동이 많아지면서 다시 길어지고 포가 간소화 되며 단추 등의 서양식 부속품이 도입되었다. 

 

한복활용도 침체


근현대에 오면 서양식 양장이 보급되고 수입이 확산되면서 한복을 명절이나 특수한 날에 입게 되었고, 한복의 기능이 생활용이 아닌 예복의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한복이 현대화 예복화가 되면서 금박, 은박, 자수를 놓은 화려한 한복이 유행했다. 
그러나 점차 한복을 자주 입지 않게 되자 ' 한복의 날'을 제정하고 전통한복과 생활한복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형태는 선으로 면을 분할 살 수 있고 색과 문양만으로도 한복의 형태변화와 미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세기에 걸쳐서 다양한 소재와 색상의 한복을 입었다.

 

한복디자인의 변화와 홍보


현재의 한복은 구한말 조선 후기 때의 이미지와 유사하지만 현대에도 한복의 디자인의 변화는 일어나고 있다. 합성섬유와 레이스 등이  덧대어져 소비자의 체형과 취향에 따라 제작되고 또한 다양한 한복 악세사리 상품 등으로 고급스러움을 더하고 있다.
최근 코로나 이후 한복을 입고 세계를 여행하는 사람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현대 한복은 신한복으로서 세계에 알려지고 있다. 

+ Recent posts